드라마가 이름 그대로 천하대로 상징하는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별별 수단, 이를테면 합숙이나 주인공들의 아픈 곳을 찌르는 자극적인 방법으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맹목성만을 보여주고 있다면, 분명 일류대병이 걸린 한 정신병자와 거기에 순종해 가는 교도들을 그린, 말 그대로 막장드라마라고 해도 그리 변명의 여지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 묻고 싶다. 드라마에 흐르는 감정선은 따라 가면서 드라마를 보고 있는지, 그리고 천하대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드라마에서 캐치는 했는지를...
드라마 주인공 황백현(유승호)의 예를 들어보자. 황백현은 쫓겨날 위기에 있는 달동네에서 청소부일을 하는 할머니와 단둘이 사는 학생이다. 자장면 배달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그의 인생에 나아질 것이라고는 하나 없다고 생각하는, 미래에 대한 꿈도 희망도 없었던 문제아에 불량소년이다. 할머니 앞에서는 그야말로 귀한 손주에 유순하지만, 황백현에게 세상은 가진 자가 지배하는, 힘있는 사람들의 것으로 비춰질 뿐이다.
왜? 백현이에게는 꿈도 없고, 꿈이란 자기와는 먼 나라 사람들 이야기니까...
세상에 삐딱한 황백현은 자신의 미래 역시 뒷골목 혹은 오토바이 배달로 근근히 벌어 먹는 그저 그런 인생일 거라고 자포자기할 수 밖에 없었다. 누구도 황백현에게 미래가 있다고 얘기해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꿈도 없고 방향감각을 상실한 황백현에게 천하대라는 목표가 주어졌다. 황백현이 천하대를 들어가고 못들어 가고는 중요하지 않다. 드라마에서 놓치지 않아야 할 큰 줄기는 황백현에게 적어도 인생을 바꿀 수 있는 기회의 시간 앞에 서 있음을 강석호라는 인물을 통해 말해 주었고, 그 소중한 시간에 무엇을 해야 하는지 깨닫는 변화를 담고자 한다는 것이다.
영리한 시청자들은 천하대가 단순히 대학자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안다. 시청자들은 천하대라는 일류대학에 목을 맨 강석호와 천하대반 학생들, 그리고 괴짜선생들의 괴짜 학습 방법을 통해 전국에 있는 모든 전교 꼴찌들이 천하대를 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주인공들이 변화해 가는 과정을 드라마로서 지켜볼 뿐이다. 드라마의 역할은 거기까지다. 주인공들의 변화과정에서 함께 공감하고 시청하는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면 더 좋을 일이겠고 말이다.
다음아이디가 있으신 분은

'종영드라마 > 공부의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의 신' 건강한 변화를 말하는 작은 감동들 (36) | 2010.02.02 |
---|---|
'공부의 신' 카멜레온 유승호, 강렬한 연기 물올랐다 (51) | 2010.01.27 |
'공부의 신' 막장 드라마라니 어이없다! (100) | 2010.01.26 |
'공부의 신' 빨간무도복 앤써니 양, 웃음보 터진 영어수업 (43) | 2010.01.19 |
'공부의 신' 울고 웃었던 홍찬두(이현우)의 수학신 강림 (36) | 2010.01.13 |
'공부의 신' 김수로의 독설이 빛나는 통쾌한 드라마 (14) | 2010.01.12 |


- 이전 댓글 더보기
-
소주꼬뿌 2010.01.26 21:33
이게 막장이 아니면 대한민국에 막장드라마는 없는거지요. 불륜은 아무나 믿어서는 큰코다친다는걸 배울수 있고, 포르노는 성교육용이겠네요.
차라리, 학벌지상주의를 적나라하게 풍자했다면 모르겠으나, 그것은 아니거든요. -
-
예비대학생 2010.01.26 21:41
저는 막장이라기 보다는 공감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분명 꿈과 희망을 주고, 난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생각하는 학생들에게 자신을 포기하지 말라는 메세지를 던지죠. 그치만 결국은 그뿐이잖아요. 작년에 수능을 치른 학생으로서 개천에서 용 나기 21세기 판을 보여주는(핀트가 포기하지 말라는 것이라고 할지라도 진행과정을 이것을 벗어날 수 없죠) 드라마에서 얼마나 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꿈과 희망이라는 것을 캐치하고 드라마를 볼까요. 제대로 교육현실을 이야기하려면, 가정환경으로 공부못하는 아이들이 성공하는 과정이 아닌 가정환경을 떠나서 교실 안에서 벌어지는 경쟁과 성적과 학벌로 인한 열등감, 아이들 간의 고뇌, 공교육이 무기력할 수 밖에 없는 원인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죠. 수박 겉 핧기 식으로 대충 포기하지 말라는 추상적인 메세지만 던져주면, 막상 스트레스에 시달려 학벌,성적,공교육에 반감을 가진 사람들의 공감은 얻을 수 있겠지만, 좋은 드라마라는 이야기를 듣지 못할 것 같습니다. 저는 만화를 좋아하구요, 만화를 통해 꿈과 희망을 수백 수천번도 재충전했지만, 현실은 그렇지 밝지만은 않습니다. 그 현실에 대한 대안책이 끊임없이 꿈과 희망을 재충전하며 현실적 조건에 충족되는 방법 밖에 없다면 결국 그렇게 큰 의미는 없을 것입니다. 천하대라는것이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표면적인 이유라 할지라도요. 공신이 좀더 다른 방향으로 접근해서 제대로된 포인트로 교육현실에 다가갔으면 좋았을텐데, 안타깝네요. 현실을 누구보다 잘 반영하는 듯 하지만, 한편으로는 현실가는 분리되어 동화같은 이야기를 하는 듯 하네요. 절대 공부를 명문대를 위한 수단으로 생각하지 않고, 공부에 대해 즐거움을 느끼는 학생이지만, 현실이 그것을 가능하지 못하게 한다는 것을 공신에서 보여줬으면 좋겠어요. 막장은 아니지만 좋은 드라마도 아닌 것 같습니다.
-
ㅎㅅㅎ 2010.01.27 12:31
하루밤 사랑~ 백프로 ━━ http://neo892.COM ━━
하루밤 사랑~ 백프로 ━━ http://neo892.COM ━━
제주도를 제외하구 전국 각지 모두 가능~!
집이나 모델로 직접 보내드립니다.
3시간-5만원 긴밤-15만원 횟수는 무제한!
━━ http://neo892.COM ━━
편생회원시 1주1회 2명 섹 파티 이벤
◈요즘 돈벌기 참 힘드시죠 ?
◈돈따기 밥먹는것처럼 쉬운곳 ━━ http://naver12.com ━━
세배 베팅,세배의 연타,세배의 승률,
그어느 릴ㄱㅔ임과 전혀 색다른 재미와 .
고개님의 신뢰로 이끌어가는기업 [신천지}입니다
신천ㅈㅣ의 감동을 그대로 온라인으로 느낄수 있습니다
━━ http://naver12.com ━━ -
opinionleaDer 2010.01.27 17:35 신고
공부의신 이게 무슨 공중파 드라마인지... 전 무슨 케이블에서 하는 아침 드라마인줄 알았습니다.. 몇년전 정규 채널에서 하던 반올림이 생각나더군요.. 근데 공부의신은 반올림보다 못한 수준의 드라마같습니다. 정규 방송에서 인터넷 용어인 '레알' '헐' '임,삼'을 남발해대질 않나... 드라마의 컨셉은 유익하지만, 실질적으로 유익한게 없는 드라마같습니다. 요즘 드라마 작가 하기 정말 쉽나보네요. 이런 막장 드라마는 이제 더이상 나오지 않았으면 합니다.
-
작은이 2010.01.27 23:50 신고
'공부의 신'의 원작은 일본 만화 '꼴찌 동경대 가다'입니다. 원작을 보면 막장일 수가 없다고들 위에서 그러시는데, 그거 기억 나시나요? 동경대를 보내는 이유? 일본에는 동경대와 맞장을 뜨는 교토대가 있습니다. 만약 정말 제대로 '공부'를 시키고 의욕을 북돋아서 미래를꿈꾸게 하는 것이라면, 그리고 정말 '공부'를 하고 싶게 하는 것이라면 교토대를 보내야 합니다. 하지만 원작에서 계속 말하듯, 교토대는 지속적으로 공부를 해온 아이들이 가는 곳, 단기간에 준비해서 갈 수 없는 곳이기 때문에 동경대를 보낸다고 합니다. 그럼 이 꼴찌 아이들이 단기간에 암기로 공부하는 기술을 잘 익혀서, 우리나라 드라마상에서는 천하대, 일본에서는 동경대를 가면 어떤 공부를 하게 될까요? 즉, 공부의 신은 공부의 신이 아니라 '대입의 신'일 뿐입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수석입학자가 수석졸업자가 되기 어려운 이유가 무엇인지를 생각해보면 공부의 신 드라마에서 '수학은 암기과목이다'라고 가르쳤다가 대학 교양수학을 들으러간 아이들이 저 멀~리 나자빠지는 것에 대한 책임은 어떻게 질까요? 그리고 그런 암기 기술로 동경대학만 가면 사회의 룰을 바꿀 수 있는 레벨이 되서 졸업할 수 있을까요? 단적인 예로 아이들이 천하대 법학부에 들어갔다고 하면 그런 암기 실력으로 사법고시를 보고 대법관이 될 수 있을까요? 사시는 암기과목이 아닌데요?
사립학원에서 지원하는 드라마에서 말하는 공부를 보고 그게 '공부'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하나도 없기를 바랍니다. 암기로 해결할 수 있는 공부는 요즘 초등학교에서도 주력하지 않던데요. -
뒤늦게 버닝 중 2010.01.31 16:43
드라마를 안보다가 뒤늦게 어제 하루만에 8회까지 다 봤네요.
일단 너무 재밌게 봤고, 공부방법도 일리있다 생각합니다.
암기를 나쁘게 보시는 분들이 있는데... 암기가 왜 나쁜 건가요?
또 드라마의 초점은 그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공부하는 방법을 배우기를 기대하면서 드라마를 보는 건 아니겠지요...
아이들이 변해가는 모습 보는 것이 대견하네요. 캐릭터 하나하나가 너무 사랑스럽구요.
사회나와서 어른되어서 공부를 하다보니,
참...저렇게 들들 볶아주는 선생님이 있는게 얼마나 고마운 것인지...그립기도 하고 그렇네요.
막장이라고 하는 분들은 정말 드라마를 잘 보시고 하는 말씀이신지... -
음......... 2010.07.14 14:23
공신을 보니까 학생때가 떠오르네요....
초등학생때는 반에서 1~2등을 안놓치다보니 목표를 서울대로 삼았었고
중학생때는 연세대를 삼았고 결국 고등학생때는 서울에 있는 대학 가는것을 목표로 삼았는데
서울에 있는 대학은 갔지만 그냥 죽기 살기로 공부해서
목표를 이루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생각되요^^
공신을 본 조카가 하버드 갈거라고 말하는데 그애를 보고 있으니까 좀 웃기기도 하고
그런 꿈을 갖고 있는것만으로도 부럽기도 하고..... 후회가 많이 되네요.
공부의신은 공부비법은 안알려주었고 막장소리 들을만도 한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아이들에게 공부를 잘하게 희망을 주었다고도 생각됩니다.
그렇다고 고3때만 열심히 한다고 서울대 갈거라고 생각하는건
드라마를 제대로 본게 아니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