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무엇보다 이번회 주목을 해야 할 인물이 좌의정이었어요. 베일에 싸여있던 좌의정의 음모를 직접적인 설명으로 보여주었지요. 좌의정과 그 수하 박종수의 대화를 통해 좌의정이 꿍꿍이를 드러낸 것이지요. 노비당도 결국 좌의정의 탐욕을 위해 이용당하고 있는 살인도구일 뿐이라는 것도 여실히 밝혀졌지요. 저는 좌의정이 노비당 그분의 배후 인물이 아니기를 여러 의미에서 바랐지만, 희망과 권력의 갭이 너무 컸네요. 노비당 그분이 자발적인 각성에 의해 움직이는 가장 낮은 자들의 분노였기를 바랐지만 그것은 아니었나 봅니다.
"원손을 보위에 올리려 역모가 일어난 터, 원손은 살아 있어도 산 목숨이 아니시지... 이로써 조정은 우리 목소리만 낭자하게 될 것이야. 그 후로는 마지막 한 가지만 남게 되시지. 대대적인 호적정리로 노비들을 모아 북방으로 올려 보내셔야지. 본격적으로 청과의 전쟁이 시작되면 그때 물소뿔을 푼다"
좌의정의 음모는 인조의 어심을 읽어 청을 징치코자 함도, 원손의 복위를 통한 반정을 저지하려 함도 아니었습니다. 자신의 배를 채우려는 탐욕을 위해 이 모든 일을 꾸민 것이에요. 띠웅~ 그동안 추노에 담겨진 메세지를 찾고자 나름대로 드라마를 연구하다시피 분석해 왔던 저는 헛수고 했나 싶어지는 대목이었습니다.
저는 이런 좌의정을 보며 드라마 추노에 흘렀던 민초들의 항거, 혹은 좌절된 희망에 대한 길바닥 사극의 기획의도 자체가 실종된 것은 아닌가 하는 심한 허무함을 느끼게 되었어요. 결국 우리 모두는 좌의정 이경식의 손아귀에 놀아난 꼴 밖에는 안됐으니까요.
우선 혁명을 담당했던 한 축 송태하에서부터 얘기를 시작하는 게 순서겠군요.
송태하가 마방관노로 떨어지게 된 것은 황철웅의 간계에 의한 것이 아니었어요. 지금은 죽고 없어진 임영호를 제거하기 위한 좌의정의 술책이었지요. 송태하의 목숨을 담보로 임영호의 정계은퇴라는 목적을 좌의정은 성공했고, 고속승진을 거듭한 끝에 현재 좌의정이라는 자리를 꿰찼지요.
좌의정의 다음 단계는 원손의 제거였어요. 어린 원손을 빌미로 반정의 씨앗을 제거한다는 것은 애초에 없었고, 소현세자의 세력을 제거한다는 의미가 큰 것이었지요. 즉 조정에 반청세력들만 남기겠다는 뜻이었어요. 좌의정이 계획하고 있는 일은 청과의 전쟁이었으니 말이지요. 원손을 따르는 세력, 엄밀히 말하자면 소현세자의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좌의정은 제주도의 참상을 그린 그림을 유포했지요. 소현세자의 잔당들을 색출하기 위한 좌의정의 계획이었던 것입니다. 동굴에 불을 지피고 여우를 잡 듯 말이에요. 어린 석견이 상주가 된 모습을 본 유생과 선비들은 비분강개하여, 원손을 왕위에 올리고 썩은 정치를 혁파하겠다는 혁명의 기치를 내세웠습니다.
결국은 인간의 탐욕이란 끝이 없음을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하고, 좌의정의 탐욕에서 비롯된 쫓고 쫓기는 얘기에 희망이니 혁명이니 세 세상이니 하는 꿈을 주인공들과 함께 꾸었나 싶어 허망하기도 합니다. 이것이 작가가 말한 88만원 세대의 암울한 현실을 말하는 것 같기도 하고요. 재벌들을 위해 개미처럼 일하지만, 고용불안으로 늘 생계의 위험을 느껴야 하는 현실이 반영된 것 같기도 하고 말입니다. 결국 배부르는 것은 거대 재벌이고, 서민들의 생활은 팍팍하기만 한...
아무튼 추노의 한 축을 움직였던 송태하의 혁명의 시작이 좌의정 이경식의 탐욕에서 비롯되었고, 그 끝 역시 좌의정에 의해 좌절된다는 것은 씁쓸하지 않을 수 없네요. 노비를 해방시켜 북방으로 올려 보낸다는 좌의정의 계획은 무모한 무리수로 까지 보입니다. 판을 이 정도로 짤 정도의 권력이라면 군권을 장악해서 북진을 추진할 수도 있을텐데, 노비들을 신분해방시켜 북벌의 도구로 쓰겠다는 것은 늙은이 망발처럼 보이기까지 합니다. 물소뿔을 팔기 위해 노비들의 호적정리까지 단행하겠다니 좌의정이 어찌보면 신분해방의 선봉장으로 봐야 하는지, 사리사욕에 눈 먼 저승길 가까운 노인네의 탐욕으로 봐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파랑새들의 터전 월악산 산채, 그곳이 제가 마지막까지 놓치고 싶지 않은 추노의 희망입니다. 삶의 가장 저변에 있는 밑바닥 인생들의 평화가 있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쥐도 구멍을 내 주고 쫓는다고 하지요. 조선의 인구 절반이 도망노비로 전락해 가는 암울한 시대, 삶의 팍팍함을 더 이상 참지 못해 도망가야 했던 그들이 숨어들 곳 하나는 남겨줘야 하지 않을까 싶어서 말입니다.
다음아이디가 있으신 분은

'종영드라마 > 추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노' 가장 무서운 인물, 업복이의 분노 (31) | 2010.03.19 |
---|---|
'추노' 대길과 송태하의 죽음암시, 누가 죽나? (31) | 2010.03.18 |
'추노' 좌의정 이경식 손아귀에 놀아난 혁명 (16) | 2010.03.18 |
'추노' 대길과의 인터뷰 7문7답, 속마음을 물었다 (21) | 2010.03.13 |
'추노' 무거운 사랑에 가벼워진 혁명 (27) | 2010.03.12 |
'추노' 송태하, 언년이와 의리 지킬 수 있을까? (15) | 2010.03.11 |


-
@run_r 2010.03.18 11:58 신고
음 어제 월악산 산채를 황철웅이 비켜가는것을 보고 추노 최후의 마지막 씬은 월악산 산채로 추정되더군요. 월악산 산채가 토벌대상으로 피날레가 장식될지, 마지막 살아남은 자들의 안식처로 장식될지는 모르지만.. 송태하는 산통깨진마당에 비굴하게 살아남는 캐릭터는 아닐듯하고 송태하 열폭 신위를 보여주고 좌의정무리들 처단후 피통 50% 다운, 황철웅 과 한판, 피통고갈로 사망, 이 과정에서 황철웅 피통 50% 다운, 은혜는 못갚아도 원수는 갚아야지하며 대길 황철웅 처단, 송태하 대길 손을잡고 원손과 언년이 부탁.. 대길 산채로 귀환.. 이 과정에서 변수가.. 업복이 대길을 저격, 언년이 망연자실, 모두 망연자실, 남은자들 산채에서 새 희망을 꿈꾸며..엔딩..
-
nyy 2010.03.18 12:46
역설적인 표현인진 모르겠으나... 좌의정의 사리사욕이 때문인진 몰라도.
결국 좌의정의 뜻(?) 은 다음임금인 효종에게 까지 전달되는게 아닌가 하네요
북벌... 좌의정은 서인정권의 수장급이니... 서인의 반청주의에 작가가
반감을 가진게 아닌가합니다. 아니면 일부러 그런식으로 몰아가는건지도 모르게군요
악인으로 보여야 할테니.. (개인적 욕심을 채우는 부분이 없었다면 좌의정은 완전
애국자에 만고의 충신이 되어버리니까요;;)
추노의 다음이야기는 송시열과 효종의 북벌에 관한 드라마가 이어진다면
참 역사공부하기 좋을텐데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추노 드라마는 http://go.idomin.com/508 <<-- 이분이 예상하신것과
똑같은 방향으로 결국 흘러가지만요..
모든것은 단지 물소뿔장사... -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