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데렐라 언니 첫회는 은조(문근영)와 송강숙(이미숙) 모녀가 대성도가 구효선(서우), 구대성(김갑수) 부녀와 한가족이 되는 과정을 보여 주었어요. 이야기는 털보장씨의 집에서부터 시작됩니다. 김치를 써는 은조의 귀 너머로 엄마 강숙과 함께 사는 털보의 싸움소리가 들려오지요. 늘 듣는 싸움소리라는 듯 무심히 칼질을 하는 은조의 눈은 마치 나와는 전혀 상관없는 일이라는 듯 서늘하면서 냉소적이기까지 합니다.
은조를 부르는 엄마의 비명소리를 듣고, 야구방망이를 들고 있던 털보장씨를 밀치고 무작정 도망나와 택시안에서 옥신각신하는 이들 모녀가 평범한 엄마와 딸이 아니라는 것을 한마디로 보여줍니다. "갈데도 없이 무작정 나오면 어떡하냐" 며 돌아가자는 엄마 강숙에게 "등짝이 보라색이 될때까지 얻어 맞으면서 왜 그 남자와 사느냐, 이것때문에 들어가려는 것이냐" 며, 털보집에서 훔쳐 나온 다이아몬드 반지에 금새 마음을 바꿔 버리는 강숙(이미숙)입니다. 속물적인 엄마 강숙과 그로인해 상처받고 세상이 싫은 딸 은조의 대조적인 모습이었지요.
엄마의 존재, 그 이질적인 상처
깡패들에게 붙들려 털보집으로 돌아온 은조는 반지를 찾으러 간 엄마 강숙과 연락이 되지않자, 엄마가 자신을 버리려 했다는 오해를 하게 되지요. 혼자 털보장씨의 집을 나갈 계획을 세운 은조가 김치를 담그며 뇌까렸던 "만세"는 소름끼칠 정도로 은조의 감정을 보여주는 반전이었어요. 엄마가 자신을 버렸다는 것에 대한 슬픔과 동시에 교차되는, 엄마라는 존재로부터의 해방을 자축하는 희미한 미소로 변하는 순간은 은조의 심리를 함축적으로 보여 준 장면이었어요.
은조는 그런 아이입니다. 엄마는 늘 자신을 아프게 하는 존재입니다. 엄마로 인해, 아니 엄마가 두들겨 맞아가며 이남자 저남자 품을 옮겨다니며 살아가는 쓰레기 같은 인생으로 상처받은 아이에요. 그래서 엄마를 벗어나는 것이 자신의 행복이라고 믿는...
반면 효선은 6살때 엄마를 잃었지만 착하고 고운 심성으로 아빠와 주위 모든 사람으로부터 사랑만 맏고 자란 아이입니다. 좋아하는 기훈이 오빠에게 "오빠는 내꺼야"라고 천진난만하게 말하면서 아무한테나 장가가지 말라고 말하는 소아기적 발달상태에 머물러 있는 아이에요. 세상은 아름답고, 사람들은 다 착해 보이는 동화 속 착한공주처럼요. 공주의 왕자는 기훈(천정명)이지요. 오빠의 말이라면 달이 네모라고 해도 맞다고 생각하는...
그런 효선에게 반지를 찾으러 나타난 아줌마는 효선의 안에 있는 상처를 아물게 하듯 엄마 자리에 들어옵니다. 저는 드라마를 보며 서우의 어리광스러운 말투와 행동이 고등학생이라 하기에는 오버스럽게 어린아이같다는 생각을 하며 봤는데요, 드라마 중간쯤 가니 서우가 효선의 캐릭터를 제대로 살리고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효선은 일종의 해리성 퇴행장애를 앓는 아이처럼 보였거든요.
"이제 제발 사람답지 않은 남자들한테 붙어서 밥먹지 말자" 라고 엄마에게 반항하는 은조는, "너 때문에 내 팔자 더럽게 꼬일 것 알면서도 버릴 생각은 단 한 번도 안했다"는 말에 또 다시 엄마를 떠나지 못합니다. "너 때문에 이렇게 살고 있다"는 말은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은조의 발목을 붙들고 있는 족쇄입니다. 엄마라는 족쇄를 풀고 싶어 도망치고 싶은 은조, 엄마라는 족쇄에 묶이고 싶은 어리고 착한공주 구효선. 이렇듯 신데렐라 언니에서 엄마라는 존재는 너무 재미있는 드라마적인 장치입니다.
여기에 두 여자를 동시에 관찰하듯 보는 인물, 홍기훈은 사랑이라는 또 다른 갈등구조를 예고하며 다가옵니다. 은조를 데리고 오는 길에 화장실에서 도망치는 은조를 쫓으면서 기훈은 은조의 슬픈 눈을 보게 되지요. 엄마에게 가지 않으려는 반항 속에 가슴을 시리게 하는 슬픔이 보였고, 세상을 경계하는 듯한 눈빛을 맞딱뜨리고는 전기충격을 받은 듯 놀라지요. 머리 뒤꽂이로 아무렇게나 찔러넣은 나무연필이 떨어지고, 머리카락이 흩날리는 문근영의 모습, 드라마를 떠나서 정말 아름답더라고요.
세상은 아름다운 동화나라였던 효선이와 세상은 쓰레기장이라고 생각했던 은조에게 같은 마음이 들게 하는 남자 홍기훈(천정명)에 대한 사랑이, 의붓자매 은조와 효선의 세상을 어떻게 바뀌게 하는지 이 드라마의 또 다른 재미일 것 같습니다.
연기자 이미숙은 완벽을 추구한다는 생각이 많이 들어요. 특히 세월까지도 얼굴에 고스란히 간직한 이미숙은 그녀가 왜 프로인지를 보여 주는 것 같습니다. 많은 여배우들이 드라마에 복귀하면서 보다 더 젊어지려는 노력을 하는데, 이미숙은 맡은 역할의 나이까지 연기의 범주에 넣는다는 생각이 들어요. 눈가에 자글한 잔주름마저도 캐릭터의 일부로 보여주니 연기를 하고 있다는 것도 잊게 만듭니다.
기존의 착한 여동생을 버리고 새로운 이미지 까칠하고 반항적인 새끼 악녀로 돌아 온 문근영, 아홉개 꼬리를 감춘 간교하고 팔자 드센 어미 여우 이미숙, 이들 모녀의 팜므파탈 연기를 보는 것만으로도 신데렐라 언니 다음회가 기다려지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아래의 추천도 꾹 눌러주세요 ^^ 추천은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다음아이디가 있으신 분은
을 누르시면 제 글을 편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아이디가 있으신 분은

'종영드라마 > 신데렐라언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데렐라 언니' 문근영, 캐릭터를 뛰어넘는 무서운 배우 (40) | 2010.04.10 |
---|---|
'신데렐라 언니' 은조에게 전해지지 못한 편지 내용은? (53) | 2010.04.09 |
'신데렐라 언니' 서우의 반격 '거지 꺼져', 갈등 시작되다 (14) | 2010.04.08 |
'신데렐라 언니' 서우의 변화가 중요한 이유 (20) | 2010.04.03 |
'신데렐라 언니' 발라당 이미숙, 촌스럽게 코믹한 작업녀 (8) | 2010.04.02 |
'신데렐라 언니' 늙은 여우 이미숙, 새끼 악녀 문근영 (31) | 2010.04.01 |

- 이전 댓글 더보기
-
지운맘 2010.04.02 09:05
역시 문근영이더군요~너무 착한얼굴이라 걱정했더니^^;; 연기력으로 커버하네요
그런데 은조안에 감쳐둔 아픔..그런게 느껴졌어요. 결국 사랑할 수 밖에 없는 캐릭터라고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