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을 이끄는 젊은 CEO 같은 모습의 숙종은 마치 여직원들에게 손흔들며 지나가는 로맨틱 훈남이었고, 동이는 숙종이 거느리고 있는 작은 방계회사 장악원이라는 곳에서 똑소리나지만 어딘지 천방지축인 말단여사원같다는 느낌이 들었네요.
동이 역시 조선시대 여인이라고 보기에는 현대적인 느낌이 강했습니다. 장악원 악사 정기 승급시험에서 영달(이광수)에게 "최고!" 라며 양손 엄지 손가락을 치켜 세워주는 모습은, 숙종이 궁녀들에게 손들고 "별일들 없지?" 라며 인사하는 모습이나 별 반 차이없는 현대적인 제스처였으니까요. 퓨전도 아니고 정통사극도 아니고 이 드라마를 어느 범주에 넣어야 하는지...;;;아무튼 새롭고 신선했어요.
지난 밤 암행에서 돌아오는 길에 들었던 해금소리에 마음을 빼앗긴 숙종은 해금을 연주한 악사를 찾으라는 지시를 내리고, 동이를 장악원으로 데리고 온 황주식은 동이에게 잠시 장악원이 아닌 주종소에 나가 일을 하라고 동이를 위기에서 구해주었지요. 장악원 노비가 악기를 만진게 들통나면 동이는 물론 황주식도 무사하지는 못하기 때문이었지요.
주종소로 동이를 보러 온 영달(이광수)은 불태워지던 파지에서 동이가 가지고 다니던 나비문양 그림을 발견하고 동이에게 전해줍니다. 동이는 과거 장익헌 영감과 같은 손동작을 했던 항아님이 지니고 있던 노리개 그림임을 알아보지요. 그러나 노리개의 주인을 알고 있던 장인은 이미 주종소를 떠난 후였고, 나루에서 배를 뒤져보지만 찾지 못하고 말았습니다.
사가로 내쳐진 장옥정이 궁으로 들어오는 날은 명성왕후의 진연(생일잔치)이 있는 날이었지요. 잔치가 성대하게 벌어지고 장악원 악사들의 축하연주가 시작되는 같은 시각, 초대받지 못한 장옥정을 위해 숙종의 지시로 장악원에 남아있던 떨거지 악사들이 숙종이 보내는 연가를 연주하는데 양쪽에서 일이 벌어집니다. 명성왕후의 축하연이나 장옥정 취선당 후원에서 벌어지는 연주가 한마디로 개판이 돼버린 사단이 벌어지고 맙니다. 이름하여 음변, 즉 음의 변고라고 합니다.
사실 이 부분도 억지스러운 설정이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네요. 장악원이란 조선 최고의 악사들이 연주하는 곳인데 이들이 과연 음보만 보고 연주했을까 싶습니다. 매일 하는 일이 연주일진대 곡하나 외우고 있지 못하는 악사들을 오늘날 국립국악원에 들어갈 자격을 갖춘 악사들이라고 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대비의 생신축하연을 준비함에 수백번도 연습했을 것 같은데 끼기긱깅 소리를 내버리는 것을 보고는 조금 의아하기도 하고요. 장옥정 처소에서 연주한 어중이 떠중이 악사들은 그렇다고 눈감아 주더라도 말입니다.
참고로 홍상의 변이란 명성왕후 아버지 김우명이 남인들을 정계에서 몰아내기 위해 꾸민 거짓 사건이었어요. 인평대군의 아들들인 복창군 형제들이 나인들과 불륜을 저질렀다는 거짓을 고변했는데 이 사건이 거짓으로 들통나 창피를 산 일이었지요. 이 거짓고변으로 명성왕후의 부친인 김우명이 죽을 위기에 처해지자 명성왕후가 대전 앞에 나가 대성통곡했던 사건은 너무도 유명한 일입니다. 그로인해 복창군형제들은 유배를 가게 되었고, 김우명은 창피함에 화병을 얻어 죽었다고 전해지고 있는 역사실화입니다.
명성왕후가 사망한 이유에 대해서 알려진 바로는 1683년 숙종의 병이 들었는데도 낫지 않자 무당에게 물었다고 하지요. 무당이 숙종이 삼재에 들어 이를 풀기 위해서는 어머니가 삿갓을 쓰고 물벼락을 맞아야 낫는 병이라고 하는 말을 믿고, 홑겹의 치마저고리만 입고 추운 겨울 물벼락을 맞은 후 감기에 걸려 이후 사망했다고 전해지는데요, 아마 현대의학으로 풀어보면 감기로 인한 폐렴으로 사망했다고도 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런데 아무리 드라마라고 하지만 죽은 명성왕후를 몇년이 지난 후에 버젓이 살려서 드라마에 등장시키는 거은 너무하지 않나 싶네요.
이번회 숙종과 내관의 대화중에도 중요한 정치적 사건이 있었는데도 가볍게 넘어가 버리는 것을 보면, 동이에서는 치열한 당파싸움의 전모보다는 장악원이라는 새로운 궁중음악 장르와 동이와의 로맨스에 더 무게를 실을 것같아 보입니다. 성균관 유생들이 소위 동맹휴학을 하고 임금을 만나겠다고 데모를 하고 있다는 말에 "임금을 만나러 왔다는데 빈손으로 오지는 않았겠지. 무슨 진상품을 가져왔는지 알아보라"는 농을 건네는 가벼운 모습으로도 보여주었는데요, 성균관 유생들의 시위는 서인이며 노론의 영수인 송시열에 대한 문제를 거론하고 나왔을 겁니다. 그런데 드라마에서는 송시열에 대한 언급마저도 삼가하는 눈치입니다.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숙빈 최씨의 일대기라 드라마로 각색하기에는 억지와 왜곡이 불가피할 수 밖에 없을지도 모르겠지만, 역사책보다 드라마가 더 오래 남기도 하는 것을 보면 심한 역사적 왜곡은 삼가해야 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명성대비는 시기적으로 이미 숭릉(현종의 능)에 합장되어 있어야 함에도 살아 활개를 치고 있으니, 역사적 고증이라는 부분에서는 큰 실책을 한 듯 싶지만, 이왕 살아 나왔으니 문정왕후와 맞먹을 만큼 무서웠던 명성왕후의 장옥정 죽이기를 계속 지켜볼 수밖에 없겠지요. 하지만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점은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아래의 추천도 꾹 눌러주세요 ^^ 추천은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다음아이디가 있으신 분은
을 누르시면 제 글을 편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아이디가 있으신 분은

'종영드라마 > 동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이' 한효주가 간과하고 있는 2퍼센트는? (20) | 2010.04.13 |
---|---|
'동이' 어리바리 숙종과 풍산 동이, 요절복통 탐정놀이 (21) | 2010.04.07 |
'동이' 죽은 사람도 살려내는 사극의 힘? (26) | 2010.04.06 |
'동이' 시선 사로잡은 한효주와 지진희, 그리고 재미있는 옥의 티 (27) | 2010.03.31 |
'동이' 옥에 티 넘치는 친절한 설명 드라마? (30) | 2010.03.30 |
'동이' 무거운 분위기, 감칠맛이 부족하다 (24) | 2010.03.24 |


- 이전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