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 봐, 너도 별다를 것 없어" 라는 듯 되받아치는 문근영의 시니컬한 표정은 더 이상 말이 필요없을 정도로 완벽하게 감정을 보여 주었고요.
이번회 은조와 효선의 감정변화는 본격적인 갈등이 시작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구도였어요. 은조에게는 사랑이 시작되고, 효선에게는 미움이 시작되는 대비적인 감정을 보여주었지요.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그 시작이 같은 감정에서 파생된다는 것입니다. 바로 빼앗김이라는 거예요.
은조가 귀찮게 구는 효선이에게 "내가 네것을 빼앗아도 착한 척 할 수 있나 두고보자"의 심정으로 동수에 대해 거짓말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어요. 은조가 경계하고 있는 것은 효선이가 유일하게 가지지 않은 엄마를 빼앗길 지 모른다는 불안감이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사실이 되어버린 은조의 장난, 왜?
은조에게 엄마는 벗어나고 싶은 족쇄이면서, 세상을 혐오스럽게 생각하게 한 장본인이면서도 버리지 못하는 존재입니다. 구질구질한 엄마의 인생에 덤처럼 얹혀 살아왔다는 자의식에서 벗어날 수 없었을 거예요. 찾아 온 털보아저씨가 엄마를 만나지 못하게 막은 것은 엄마를 위해서였어요. 그토록 벗어나고 싶고 혐오하는 엄마지만 지켜주고 싶은 본능같은 것이었어요. 자신이 세상에서 유일하게 가진 가족이고, 사랑받고 싶은 사람이었던 것이에요.
그러면서도 은조는 자신을 혐오합니다. 엄마가 마련해 준 대성도가라는 풍족함에 어느새 오래도록 안주하고 싶은 생각이 들기 시작했거든요. 늘 짐을 꾸려 떠나고 싶은 은조가 떠나지 못했던 이유는 아무도 자신을 잡아주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었을지도 몰라요. 나 어디로 떠날거야 라고 했을 때, 정작 속에서는 가지말라고 누군가가 자기를 붙들어 주기를 바라는 마음, 그러나 은조는 그런 사람이 없었어요, 그런데 그렇게 붙들어 줄 것 같은 사람이 눈에 들어옵니다. 엄마로 인해 상처받은 자리에 기훈이라는 남자가 들어오게 된거죠. 은조가 계속 마음으로 되뇌이던 "은조야... 하고 불렀다"는 말은 늘 떠나고 싶은 은조를 붙잡아주는 사람이 생겼다는 것에 대한 흥분과 설레임의 시작이에요. 세상을 향해 닫아걸었던 마음의 문을 두드리는 소리를 들은 것이지요.
그런데 은조는 엄마에게서 자신이 갈구하던 모습을 보게 됩니다. 대성도가라는 사람냄새 나는 곳에 귀엽게 재잘거리는 딸, 우아하고 고상한 말씨에 단정한 옷차림, 온화한 미소를 짓는 엄마, 엄마와 딸을 바라보는 아버지의 넉넉한 웃음. 이런 완벽한 가족 그림이 은조 눈앞에 펼쳐진 것이에요. 그런데 그 그림 속에 자신의 자리가 없는 것을 알게 되지요. 어리광부리고 사랑받아야 할 자리에 은조가 아닌 효선이가 차지하고 있었던 것이에요.
무릎팍이 깨져 병원에서 꿰매고 절뚝거리고 다녀도 엄마는 애교부리며 착하고 곰살맞게 안기는 효선이 차지가 되어 있습니다. 그토록 싫어하는 엄마지만 효선이가 엄마의 무릎에 누워 잠들어 있는 모습을 보고는 은조는 찢어진 무릎의 상처보다 마음이 더 아파오는 것을 느끼지요. 두 사람을 보고 말없이 방문을 닫는 은조의 마음이 "엄마를 뺐겼다. 버리고 싶은 엄마지만, 엄마마저 너에게는 주기 싫다"는 마음이 아니었을까 싶더군요. 은조의 눈에 비친 효선은 모든 것을 가진 아이였으니까요.
유일하게 효선이가 가지지 못한 것이 엄마인데, 그것마저 은조에게서 빼앗아 가려는, 모든 것을 가진 효선에게 은조는 묘한 질투를 느끼게 되는 것이지요. 늘 누군가에게 빼앗기고 살아왔다고 생각하는 아이가 은조에요. 은조가 '왜 그랬는지도 모를 알 수 없는 감정'으로 동수를 가지고 효선에게 장난을 친 것은, 엄마를 빼앗긴 듯한 불안감과 엄마를 차지한 효선에 대한 질투심 때문이었을지도 몰라요.
효선은 받기만 했고, 주는 것을 좋아했던 아이였어요. 빼앗겨 본 일이 없었던 아이였죠. 그런데 동수를 빼앗겠다고 말하는 은조에게서 효선은 처음으로 빼앗긴다는 그 불쾌감을 느낍니다. 한번도 빼앗긴 적이 없었던 효선은 이 낯선 불쾌감에 반응을 하기 시작합니다. 효선이는 처음으로 상처를 입은 것이에요. 효선이는 은조의 말처럼 싫은데 좋아하는 척 할 수가 없었던 거에요.
머리핀도 옷도 새 가방도 효선은 다 줄 수 있는 것들이에요. 다시 채울 수 있는 것들이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은조는 효선의 마음에 생채기를 내고 싶다고 합니다. 은조가 바라는 것이 효선이 상처받는 것을 보고 싶어하는 것이라고요.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알면서도 동수가 사귀자고 했다며 줄 수 있느냐고 묻는 은조를 보며 효선은 비로소 깨닫습니다. 은조가 자신을 정말로 싫어한다는 것을요. 효선은 처음으로 상처라는 것을 경험합니다. 어릴 때 엄마를 잃은 상처와는 다른 것이에요. 엄마를 잃은 것은 슬픈 일이었는데, 은조언니가 동수를 뺐겠다고 하는 말은 슬프지가 않습니다. 누군가가 자기 것을 빼앗으려고 하는 것이 불쾌하고 미울 뿐이에요.
차갑게만 보였던 은조도 동수가 보낸 카드가 있었으리라고는 생각지도 못하고, 효선이 상처받는 것을 보고 신경을 쓰는 모습을 보면 마음 여린 아이였고, 세상은 무공해 동화나라라고 생각했던 효선이도 다치면 아파하고 발톱을 세우는 모습입니다.
표면적으로 보면 두 사람은 빼앗고 빼앗기는 관계처럼 보이지만, 은조나 효선이는 같은 아이들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상처받고 싶지 않은 아이, 상처에 익숙하지 않은 아이... 그런 점에서 두 사람은 거울처럼 닮아 있습니다. 상처를 입히는 것도, 상처를 받는 것에도 서투르고 똑같이 아파한다는 것이 말이지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아래의 추천도 꾹 눌러주세요 ^^ 추천은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다음아이디가 있으신 분은
을 누르시면 제 글을 편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아이디가 있으신 분은

'종영드라마 > 신데렐라언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데렐라 언니' 문근영, 캐릭터를 뛰어넘는 무서운 배우 (40) | 2010.04.10 |
---|---|
'신데렐라 언니' 은조에게 전해지지 못한 편지 내용은? (53) | 2010.04.09 |
'신데렐라 언니' 서우의 반격 '거지 꺼져', 갈등 시작되다 (14) | 2010.04.08 |
'신데렐라 언니' 서우의 변화가 중요한 이유 (20) | 2010.04.03 |
'신데렐라 언니' 발라당 이미숙, 촌스럽게 코믹한 작업녀 (8) | 2010.04.02 |
'신데렐라 언니' 늙은 여우 이미숙, 새끼 악녀 문근영 (31) | 2010.04.01 |

-
전 2010.04.08 10:13
이 드라마에서 이중성을 감추지 않고 드러내는 솔직한 인간은 은조 뿐인듯합니다. 효선이가 착하다 착하다 하는데..도대체 뭔 기준일까요. 풍족한 아이가 남에게 뭔가를 주는 일이 착한 일일까요. 나도 부족하고 아깝지만 쑥 내놓을 수 있고..타인의 감정을 세세히 살피지는 않더라도 배려해줄 줄은 아는것이 착한게 아닐까요. 전 신데렐라란 제목이 부담스럽습니다. 은조는 신데렐라 언니가 아니고 효선이도 신데렐라가 될 수 없어요. 신데렐라는 아버지의 재혼과 상관없이 성숙된 인간이었지만 효선이는 이제 막 유아기를 지난 아기 같습니다. 같은 인간이되 다른것이지요. 효선이더러 착하다는 말은 효선의 성장을 막을 겁니다. 신데렐라란 허명도 그녀의 성장을 멈춰버리게 하는데 일조할거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