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선이 새엄마 송강숙의 도덕적 배신까지 감쌀 수 있을지, 효선의 섬뜩한 눈을 보니 파국으로 치달을 것만 같아서 불안해 보입니다.
신데렐라 언니의 주인공들의 감정도 이 큰바늘과 작은바늘의 움직임처럼 각각 다른 주기로 움직여 갑니다. 함께 움직이면 서로를 항상 볼 수 있을 텐데, 그랬다면 인간관계에서의 오해와 갈등도 없을 수도 있는데 각자 따로 움직이니 서로를 가까이서 볼 수가 없습니다. 은조와 기훈, 송강숙과 효선, 그리고 효선과 기훈이처럼 말이지요. 이번 글은 송강숙과 효선의 엇갈려 움직이는 시계바늘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효선아, 니가 그 바보같은 남자의 딸이니"
털보장씨의 노름빚을 받으러 온 사람들에게 줄 돈을 마련하기 위해 통장을 정리하던 송강숙은 구대성이 8년간 써온 일기장을 발견하고는 소스라치게 놀랍니다.
"한 사람이 나에게 왔다. 봄바람같다. 봄바람에 꽃향기가 묻어있다. 꽃향기에 홀리듯 그 사람에게 홀렸다. 그 사람의 부은 발을 영원히 주물러 주기로 맹세했다. 나는 맹세가 너무 많다. 못난 남자가 그렇다. 못난 남자인 내가 다시 맹세한다. 그 여자 눈에 눈물 고이는 일 없게 하기를..."
차곡차곡 모아놓은 구대성의 일기는 송강숙을 만난 날부터 8년간의 구대성의 한결같은 사랑이 적혀있었지요. 송강숙의 기억에 주마등처럼 흐르는 구대성과의 만남과 그의 죽음으로 이별까지의 시간들...구대성의 일기는 2010년 구대성이 죽기전에 쓴 일기를 찾아 헤매던 송강숙은 구대성의 서재에서 구대성의 마지막 일기를 찾아내고 오열하고 맙니다.
"그 사람이 휘청휘청하는 걸 못난 남자는 속수무책으로 바라만 본다.... 그 사람이 가끔 옛 남자를 만나고 돌아와 내개 웃을 때 분노와 절망과 슬픔이 차례로 왔다가 간다... 왜 그러느냐고 그 사람에게 묻고 싶지만, 못난 남자는 겁이 나서 입도 달싹할 수가 없다... 입을 열어 발설하는 그 순간 내가 그 여자와 함께 살아왔던 지난 8년의 세월이 거짓말처럼 사라지고 말 것을 안다.. 내 인생이 그 사람없이 계속되는 것, 나는 그게 가장 두렵다"
뒤늦은 후회, 비로소 세상에 거짓말 같은 진실된 사랑 하나쯤은 있다는 것을 알게된 송강숙은 통한의 눈물을 흘리며 오열합니다. 이제서야 세상에 사랑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그리운 남자, 야속한 남자는 또 다시 송강숙을 버리고 가버렸습니다. 용서를 빌수도 없는 사람, 가슴에 얹힌 돌덩이를 어떻게 하라고, 늘 지켜주겠다던, 평생 부은 발을 주물러 주겠다던 그 사람, 다시는 눈에 눈물 고이는 일 없게 한다고 맹세한 그 사람은 이렇게 송강숙에게 절절한 그리움만을 남겨주고 떠나 버렸습니다.
그 사람이 남긴 딸 효선, 그 아이가 안아달라고 합니다. 거머리처럼 달라붙는 그 아이를 자꾸 밀쳐내도, 그 아이는 계속 자신의 손을 붙잡으려 합니다. 안아달라고 떼를 쓰던 아이가 자신의 가슴에 드리운 외로움을 보고는 안아줍니다. 부끄럽고 죄많은 송강숙을 아무것도 모르고 엄마라고 안아줍니다. 효선의 등 뒤에서 효선의 헤어샴푸 냄새를 맡으며, 송강숙은 이 부녀의 사랑 앞에 무릎끓고 싶어집니다. 송강숙의 두 눈에 흐르는 눈물, 그 참회의 눈물은 효선을 진심으로 가슴으로 안고 싶게 만듭니다. 그 바보같은 남자 딸이니까요.
자신의 십자가를 거부하는 것은 곧 자신과 은조의 파멸이기에 송강숙은 그 짐을 져야겠지요. 저는 송강숙이 그 짐을 버리지 않을 것이라 믿어요.
벼랑 끝에 선 효선의 분노
신데렐라 언니는 은조에게서 효선의 이야기로 넘어갑니다. 그동안 은조의 상처를 그려왔다면, 이제부터는 신데렐라 효선의 상처를 그리려 하고 있습니다. 새엄마의 도덕적 배신, 기훈으로부터 거절당한 마음, 게다가 기훈이 대성참도가를 무너뜨리려 하고 아버지를 죽게 한 원인을 제공했다는 것을 알게 되면, 효선의 분노는 겉잡을 수 없이 폭발하게 되겠지요.
효선의 감정폭발을 막아 온 것은 은조와 새엄마였어요. 누구에게도 기댈 곳이 없어진 효선은 새엄마의 마음이 진심이 아니었음을 알면서도, 아무리 흉내 내려고 해도 따라가지 못하는 은조에 대한 질투심도 다 누르려 했어요. 차가운 엄마와 언니지만 이들마저 없다면, 세상에 혼자라는 불안감에 효선은 가슴에 얹힌 눈물마저 쏟아내지 못하고 참고 또 참아왔어요. 그게 효선의 가슴을 짓눌러 숨이 막혀올 정도로 답답헤도 소리조차 내지 못하고, 눈물조차 삼켜야 했던 효선이었어요. 새엄마와 은조는 아버지가 사랑했던 사람들이었기 때문이죠. 효선이 새엄마와 은조를 내려놓지 않으려 한 것은 아버지의 마음을 배신하고 싶지 않아서였을 거예요.
그런데 효선은 돈뿐만이 아니라 도덕적으로 새엄마가 아버지를 8년간 배신해 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어요. 아버지는 새엄마의 배신까지도 "내 인생이 그 사람없이 계속되는 것, 나는 그게 가장 두렵다"라며 끌어 안았지만, 효선이가 감당하기는 벅차고 혼동스럽습니다. 아니 너무니 큰 충격이라 말도 나오지 않습니다.
새 엄마에게 기대고 싶어하고, 우리 애기라고 말해 주는 것에 안심하고, 자신의 머리를 쓰다듬어 주는 것에 행복해 했던 일이 치가 떨리도록 분합니다. 다가가면 마치 벌레를 보듯 몸을 털어내던 새엄마, 좋아하는 남자에게 실연당했다고 우는 효선에게 한 번쯤은 토닥토닥 안아줄 줄 알았던 새엄마는 끝내 차가운 등만을 빌려주었을 뿐이었어요. 이제는 효선이 그 등이 끔찍스럽습니다. 효선을 쓰다듬어 주던 그 손이 소름끼치게 더러워 보입니다.
효선은 새엄마를 그렇게 생각할 수 밖에 없어요. 이 아이는 정말 인간의 저 밑바닥 말초적인 추악한 모습은 몰랐던 무공해 아이였어요. 그래서 효선의 변화와 질주하는 분노는 은조의 비명보다 더 강렬하고 소름끼치게 무섭습니다.
그런 점에서 서우 효선의 캐릭터가 드라마의 긴장감을 이끌어 주었으면 싶습니다. 이 드라마는 특히 기훈과 효선의 감정선이 매 회 연결이 매끄럽지 않아 저는 솔직히 혼란스럽고 피곤할 때가 많은데, 이는 천정명과 서우의 문제 뿐만이 아니라 대본에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천정명의 감정연기는 솔직히 포기했습니다만, 서우는 왠지 효선의 흐리멍텅한 캐릭터때문에 널뛰기를 하는 것 같이 보입니다. 새엄마에 대한 배신감, 아버지에 대한 연민, 그리고 기훈에게 거절당하고 벼랑 끝에 몰린 효선의 감정선이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면, 질질끄는 듯한 스토리도 가속도가 붙을 것 같은 기대감도 들고요.
송강숙과 효선의 갈등은 홍주가의 음모에 휘말리는 대성참도가의 운명과 함께 신데렐라 언니 후반부를 이끌 중요한 스토리가 될 것 같습니다. 신데렐라 언니가 달려가고 있는 열두시, 큰바늘과 작은 바늘이 만나는 시간, 그 곳이 화해가 될지 비극적인 파국이 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송강숙의 눈물을 믿고 싶습니다. 자기 속으로 난 자식들은 결코 버리지 않으려는 송강숙의 모성, 그것이 질주하는 효선이도 끝내는 품었으면 좋겠어요. 상처투성이 송강숙과 은조를 품었던 사랑이 '아버지'라는 이름의 구대성에게서 시작되었다면, 그 용서와 화해는 '어머니'라는 이름의 송강숙에게서 완성되길 바라거든요. 세상에 어떤 것도 아버지와 어머니의 품만큼 큰 그릇은 없으니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아래의 추천도 꾹 눌러주세요 ^^ 추천은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다음아이디가 있으신 분은
을 누르시면 제 글을 편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아이디가 있으신 분은

'종영드라마 > 신데렐라언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데렐라 언니' 효선은 송강숙을 용서할 수 있을까? (32) | 2010.05.20 |
---|---|
'신데렐라 언니' 천정명과 서우, 문근영을 위한 병풍들? (66) | 2010.05.15 |
'신데렐라 언니' 독기품은 서우의 눈빛, 반가운 이유 (26) | 2010.05.14 |
'신데렐라 언니' 가슴 멍든 정우의 독백, 닮은꼴 내사랑 은조 (12) | 2010.05.13 |
'신데렐라 언니' 은조를 구원할 사람은 효선이다 (19) | 2010.05.07 |
'신데렐라 언니' 효선, 강숙에 대한 복수의 시작? (24) | 2010.05.07 |


- 이전 댓글 더보기
-
-
사탕 2010.05.15 02:34
동감, 대본상 문제가 있는것 같습니다. 솔직히 캐릭터들이 좀... 사실 구대성과 새엄마는 그 포스로 이야기를 이끌어 냈지만, 은조역도 조금은 그랬지만 여튼 근영양이 잘 해주었습니다. 다만 서우양 같은 경우- 서우양이 연기를 잘하는데도 불구하고, 음, 서우양은 인물에 완전 확 몰입해 연기하는 스타일이라 가끔 흐리멍텅하고 약간 아리까리한 역할때문인지 가끔... 그렇더라고요. 천정명씨 역할도 그렇다고 봅니다. 천청명씨와 이 역할은 약간 안맞았던게, 솔직히 캐릭터 자체가 좀... 그렇더라고요. 연기를 빼고 그냥 순수하게 캐릭터를 보면 천정명씨가 군대에서 쉬고와서 맡은 캐릭이 하필 이 캐릭이냐 싶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