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이를 위한 장희빈의 정치강론이 인상적이었는데요, 장희빈의 말이 옳지 않은데도, 구구절절 현실과 결부된 말들이라 귀담아 들을 필요도 있어 보입니다. "당연한 듯 아무렇지도 않은 듯, 그런 일들이 벌어진 까닭은 그것이 힘이기 때문이다. 권력이기 때문이야".
처소나인을 풀어달라는 동이의 말은 장희빈에게는 내명부의 정치적 힘겨루기로 비춰집니다. 내명부 신출내기 주제에 나인을 구해 환심을 사려하느냐며 까불지 말라고 으름장을 놓는 장희빈입니다. 권력의 단맛을 안 장희빈은 내명부의 자리라는 것이 어떤 욕심을 불러 일으키게 하는지 모르지 않습니다. 동이는 더욱 경계의 대상이지요. 숙종의 마음을 얻은 동이가 과거 인현왕후의 자리보다 더 무서운 실세로 변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꿀을 찾아 나비와 벌이 날아들 듯, 동이가 원하든 아니든 사람이 꼬일 것이라는 것을 모르지 않는 장희빈입니다. 그것이 권력이 가진 속성이니까요. 사람을 얻지 못하면 권력도 종이장처럼 가벼운 것일 뿐이라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장희빈입니다.
한 수 앞을 읽지 않으면 당할 재간이 없는 동이이기에 장희빈은 더러운 짓에 직접 손을 담그는 것도 마다하지 않겠다고 합니다. 중전이라는 권력을 최대한 이용해서 대전상궁까지 구워 삶은 장희빈은 정상궁이 장희빈의 사가와 분장수가 관련이 있다는 보고를 하는 것도 다 알아냅니다. 예나 지금이나 큰 활약을 하는 고자질꾼들은 쓸모있는 도청장치인가 봅니다.ㅎ
장희빈은 윤씨부인의 머리에서 나오는 잔머리 그 이상의 계책을 지시하지요. 분장수를 매수해서 붙잡혀 주게 하는 방법입니다. 눈 돌아가는 거액에 고초쯤이야 눈 질끔감고 당해도 좋다는 분장수는 약속대로 붙잡혀서 감찰부에서 고신을 당하지요. 분장수를 매수해서 윤씨부인을 통해 거금을 전달하는 방법은 내의원을 매수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이었지만, 일단 이 작전은 성공입니다. 장희빈이 노린 것은 동이에게 모함을 뒤집어 씌우는 것이 아니라 동이를 구하고 자신이 대인배임을 알리는 방법입니다. 일명 꿩먹고 알먹고 수법이라 할 수 있겠지요.
이 일로 장희빈은 숙종의 마음도 쬐금 얻은 듯 보입니다. "저는 투기하는 소인배는 아닙니다. 그런 헛소문을 믿지 않는다고 했는데, 어찌 저를 믿지 못하십니까?" 라며 오히려 은근히 나무라기까지 하는 장희빈입니다. 숙종도 조금은 이상스럽지요. 괴질사건의 전말을 다 알았으면서도 왜 동이를 감찰부로 끌고 가게 했는지 이해가 되지 않으니 말입니다. 때는 이때다 싶은 장희빈은 숙종과 동이 두 사람에게 뼈있는 말을 하지요. "말을 할 때는 신중해야 하고, 그에 따른 책임이 있다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 내명부의 법도가 아니겠습니까? 저는 다만 내명부 수장으로서 그것을 가르치려 했을 뿐이었습니다". 요지는 내가 내명부 대장이니, 내명부일은 전하도 나서지 말고, 신출내기 동이에게 까불지 말라고 했다는 것이지요.
분장수에게 윤씨부인이 건넨 거액의 환이 덜미가 잡힌다면 사건이 원점으로 돌아올 수 있겠지만, 보아하니 궁궐에 또 다른 사건이 생기게 되나 봅니다. 청사신이 가져 온 세자고명 승낙소식에 만세를 부르던 장희빈과 장희재가 순식간에 낯빛이 흑빛으로 변하는 것을 보니 말입니다. 동이가 가지고 있는 등록유초가 세자고명 건과 관련해서 큰 역할을 하게 될 것 같습니다. 사건무마용으로 장희빈이 동이에게 후궁첩지를 내려주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장희빈이 동이와의 옛정이라며 충고로 하는 말을 들으니 동이에게 보여주는 마지막 장희빈의 솔직함이었을 것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장희빈이 자신의 야심을 이루기 위해서라면 어떤 일도 마다하지 않을 것이며, 옳지않은 권력과 힘을 동원하는 것도 할테니 단단히 각오하라는 말이었지요.
눈빛을 보이지 말라는 말은 동이를 위한 장희빈의 두번째 정치강론입니다. 권력과 힘이 없으면 아무 것도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른 것조차도 옳다고 여기도록 만드는 것이 권력이고 힘이다. 이것이 장희빈의 정치강론 하나였다면, 동이에게 또 하나 중요한 정치인의 자세를 알려줍니다. "상대에게 속을 들키지 말라".
추락하는 장희빈, 정면승부에 나선 이유
밟아도 잡초처럼 살아나는 동이를 누를 수 있는 방법은 동이의 목숨이 아니라, 자신이 잃었던 것을 뼈아프게 돌려주는 것을 깨달은 장희빈이에요. 성심을 잃는다는 것만큼 고독하고 외로운 것은 없으니까요. 어찌보면 장희빈은 더 강하고 모질게 변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마음을 고통스럽게 하는 것, 그것이 죽음보다 더 힘들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게 된 장희빈이니 말입니다. 동이를 받치고 있는 힘은 숙종의 사랑과 믿음이라는 것을 모르지 않은 장희빈이지요.
이제는 자기 손에 직접 더러운 것을 묻히겠다며 '되로 주고 말로 받기', '당근과 채찍', '눈가리고 아웅', '꿩먹고 알먹기', '닭잡아 먹고 오리발 내밀기' 등등 별별 수단은 다 동원해서 권력이라는 구린내 나는 것을 놓지 않으려는 장희빈입니다. 그 길이 추락하는 길임을 알면서도 말입니다.
사랑과 믿음을 잃어버린 장희빈이 궁이라는 곳에서 배운 것은 힘을 가지지 못하면 몰락한다는 것 뿐이었어요. 폐비된 인현왕후처럼 말이지요. 옳지 않은 것도 옳게 만들수 있다는 권력과 힘에 의지해 가는 장희빈은 스스로 몰락해 갈 수밖에 없습니다. 진실과 정의는 인고의 시간 속에서도 승리하기 때문이지요.
어찌되었든 동이는 장희빈을 통해 정치라는 것, 권력이라는 힘이 가진 무서움들을 알아가는 것 같습니다. 또한 처세술까지도 말이지요. 장희빈이라는 인생 최대의 정치거물을 만난 동이가 어떻게 성장해 갈지, 동이는 정말로 궁궐이라는 조선의 정치 1번가에 들어서게 된 것같습니다.
추천은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다음아이디가 있으신 분은

'종영드라마 > 동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이' 장희빈의 빈집털이 작전, 희생양은? (17) | 2010.07.20 |
---|---|
'동이' 전화위복 동이 vs 제 무덤 스스로 판 장희빈 (18) | 2010.07.14 |
'동이' 추락하는 장희빈, 동이와 정면승부에 나선 이유 (18) | 2010.07.13 |
'동이' 첫날밤, 왜 하필 주막? 숙종때문에 웃다가 넘어갔던 장면 (29) | 2010.07.07 |
'동이' 숙종, 쌍가락지 청혼하고 받고 싶었던 동이의 혼수품 (28) | 2010.07.06 |
'동이' 장희빈의 캐릭터, 애매해져 버린 이유 (11) | 2010.07.03 |


-
민들레의자세 2010.07.13 09:40
아까 비로그인 상태로 읽고, 볼 일 보고서 다시 들어왔는데 음...
시청률이 많이 떨어졌다는 기사가 떴네요.
어제 끝부분만 조금 봤던터라.
오늘은 꼭 본방사수 해야쥐. 잘 읽고 갑니다. -
누리님 글에 중독 ^^ 2010.07.13 11:13
저는 어제 동이의 중전마마를 보면서 선덕여왕의 미실이 생각났었어요.
미실도 선덕여왕에게 정치와 권력에 대해 강의하던 장면이 있었지요.
그 장면때 미실의 말을 들으면서 옳지 않다는 생각은 들었지만 그럼에도 그리 생각하는 것을 왠지 알것같은 느낌. 그 자신으로서는 그리 생각할 수 밖에 없지 않았나 싶기도 하고, 또 한편 현실의 정치를 생각하면 나름 공감할 수 있기도 해서 좀 씁쓸했었던 기억도 납니다. 어쨋든 그때 미실의 존재감과 카리스마는 장난이 아니었는데요..
이소연의 중전마마는 존재감이나 카리스마도 미실에 비하면 약해 보이고, 또 악녀라 해도 그래 그리 될 수 밖에 없었겠구나... 생각하는 것은 옳지 않지만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라고 인정할 수 있게 되는 공감력? 뭐 이런게 좀 부족한 듯 싶더라고요..(저만 그런가요? +_+;;)
한 사람의 연기자가 자신을 통해서 한 인물을 보여줄 때
그 인물의 매력을 표현하는 것이 연기력이라고 본다면
초반 새로운 장희빈을 보면서 기대했던 것에 비하면 좀 부족하지 않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미실이 없었다면... 어쩌면 이소연씨 참 대단하다.. 했을런지도..+_+;; 그런데 운이 없네요.. 미실이 그토록 강하게 존재감을 확인시킨 장면과 비슷한 장면을 이소연씨도 연기하고 비교당하는 것에 대해서라면....ㅡ.ㅡ;;;)
아무튼, 어제의 동이는 달달하지 않아서 좀 서운했습니닷..험험! -
바보동이 2010.07.13 18:47
동이가 점점 닭 대가리가 되어가고 있다 날카로운면도 탐정같은 면도 어리버리 도이 ,닭 대가리 동이가 되고 있다 닭, 닭, 닭, 파다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