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태섭'에 해당되는 글 1건
- 2010.04.04 '인생은 아름다워' 동성애 화두 던진 김수현, 역시 날카로웠다 (14)
흔히 동성애자들의 고민은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태어났다는 것,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 가장 무섭고 두려울 것이라는 통념을 깨는 김수현식 화법이라는 것에 놀라웠고, 문제의 본질을 꿰뚫는 날카로운 시선에 다시 한번 전율했습니다.
생각해보니 동성애자의 입장에서 그들의 고민을 한 번도 생각해 보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막연히 사회의 따가운 시선에서 다른 사람과 다르다는 것으로 인해 고민할 것 같다고만 추측해 버렸을 뿐이었어요. 나아가 제 자신이 나름대로는 쿨한 척, 오픈마인드인 척, 다르게 태어났다는 것을 인정해 줘야 하지 않느냐는 식으로 편견에서 비껴 서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정작 동성애자들이 다른 사람의 시선보다는 자신의 성정체성을 속이고 사는 것에 대한 자기 혐오증이 있으리라고는 생각을 못해 봤어요. 정확하게 말하면 다른 사람과 다르게 태어났다는 것에 대한 자기연민이 강할 것이라고만 생각해 왔어요.
엎친데 덮친격으로 과일 바구니를 들고 온 채영이 태섭과 결혼하고 싶다며 정식으로 인사를 하고 갔고, 이를 알게 된 태섭도 곧 폭탄발언을 할 것으로 보이는데, 예고편에 큰삼촌(김상중)이 태섭이 경수와 안고 있는 장면을 목격하는 것으로 보아 이제 태섭이에 대해서 식구들이 알게 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것 같습니다.
비교적 조용했던 불란지 펜션에 제주의 거센 바람보다 심한 태풍이 몰아치게 될 것 같은데 앞으로의 전개가 흥미진진합니다. 무엇보다 앞으로 동성애 문제를 노작가 김수현이 어떻게 풀어갈지가 가장 궁금한데요, 태섭 역의 송창의의 블링블링한 모습에 빠져있는 지라 관심이 더 가네요.ㅎ
제가 다민족이 모여 사는 캐나다에서 살다보니 동성애자 혹은 양성애자들을 심심찮게 보기도 해요. 캐나다는 비교적 동성애자나 양성애자들이 한국에 비해 많은 편이라 사회적인 시선은 한마디로 쿨한 편이에요. 궁금해서 아들과 딸아이에게 물어봤어요. "학교에 동성애자 친구있니?" 아들이랑 딸은 아무렇지도 않게 "네, 몇 명 있어요" 이러는 겁니다. 내친김에 친하게 지내는 친구도 있느냐고 물어보니 딸아이가 동성애자인 남자아이와 수업을 같이 들어서 가끔 대화를 나눈다고 하더라고요. 딸아이는 친구의 사생활에 대해 말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지라 자세한 이야기는 피하려고 하더군요. 겨우 꼬셔서 두가지 답을 들을 수 있었어요. 제가 궁금했던 것은 동성애자가 어떤 것을 가장 고민하는지 였거든요. 놀랍게도 김수현 작가가 던지는 문제와 일치하더군요.
딸아이가 동성애자인 학교친구와 그 동안 대화를 나누면서 알게 된 것은 동성애자들은 처음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자신이 다른 사람과 다르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한 다음에는, 다른 사람들이 자기를 어떻게 볼까의 문제로 넘어간다고 해요. 그러나 이 고민은 달리 해답이 없지요. 어쩔 수 없는 사회 통념이기 때문이지요. 그리고는 딸아이가 한마디 덧붙이더군요. "엄마 김수현작가는 대단하신 것 같아요. 제 친구의 가장 큰 고민이 자신이 게이라는 것을 주위 사람들에게 속이는 거래요" 라고 하는 겁니다. 처음에는 나는 왜 이렇게 태어났을까에서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까의 고민으로 넘어갔다가 결국은 떳떳하게 커밍아웃하지 못하고 속이는 자신에 대한 혐오감이 가장 큰 고민이라는 거예요.
김수현의 시선은 바로 이 부분에서 시작하고 있습니다. 동성애자에 대한 제 3의 시선이 아닌 동성애자의 마음에서 이 문제를 건드리고 있다는 점입니다.
아들이나 딸이 상당히 보수적인 성격들인데도, 저는 아들은 당연히 그런 대답을 할 것이라 생각했는데 딸아이의 대답을 듣고는 조금 놀랐어요. 이후에 딸아이랑 아들녀석은 "가족인데 그 문제로 어떻게 아무렇지도 않겠냐?", "개인적인 문제인데 왜 참견을 해야 하냐?" 로 한동안 옥신각신 하더군요. 결국은 해답은 없었어요. 사회적 통념과 개인의 성정체성의 문제가 융합되기에는 저희집 역시 아직은 불가능해 보이더라고요.
그리고 딸아이의 친구는 빨리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싶어한다면서, "대학이나 사회에 나가면 그때는 클럽에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으니 마음에 드는 사람을 만날 가능성도 많을 거야" 라고 하더라는 거에요. 그러고보니 당당한 사랑은 고사하고, 상대를 찾는 것이 더 어렵겠구나 싶더군요.
우리 딸은 카톨릭학교에 다니고 있는데, 종교시간에 동성애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한다고 해요. 대부분의 친구들과 선생님은 동성애 자체를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문란한 성생활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은 것에 대해서 우려를 한다고 합니다. 또 친구들끼리 농담삼아 '너 게이지?, 레즈비언이지?' 하고 놀리는 경우는 자주 있어도, 실제로 동성애자임을 밝힌 경우에는 있는 그대로 진지하게 받아주고, 뒤에서 수근거리거나 놀리지는 않는다고 하네요.
딸아이 얘기 중에 놀라웠던 것은 한 친구가 수업시간에 동성애 자체가 나쁘다는 의견을 냈다가 다른 친구들에게 소위 폭풍까임을 당했다고 해요. 동성애는 엄연히 개인적인 성의 특수성일 뿐이고, 모든 사람은 존중받아야 한다는 교리의 가르침에 어긋나기 때문이라는 반론들이 더 많았다는 거예요.
민재가 태섭의 커밍아웃을 '네가 그렇게 타고 났는데 어쩌겠냐, 너의 성정체성을 인정한다'라고 쿨하게 받아들인다면, 자기 속으로 낳은 자식이 아니라서 그렇게 쿨한척 고상한척 받아들일 거라는 생각도 하게 될 것이고, 그렇다고 길길이 뛰며 '안된다, 어디가서 마음을 수술이라도 해서 바꿀 수 있으면 바꿔라'고 말할 수도 없는 일이겠지요. 그렇다고 숨기고 살아라라고 말할 만큼 민재는 잔인하지도 못한 성품이에요. 태섭의 성정체성의 문제를 어떻게 노작가가 풀어나갈지 궁금하지만, 김수현 작가는 제대로 화두를 던졌습니다. 타인의 시선에서의 동성애가 아닌 동성애자의 시선에서 풀어내고 있다는 것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아래의 추천도 꾹 눌러주세요 ^^ 추천은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다음아이디가 있으신 분은
을 누르시면 제 글을 편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아이디가 있으신 분은

'종영드라마 > 인생은아름다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은 아름다워' 태섭(송창의)의 커밍아웃, 그들의 아픔에 함께 울다 (12) | 2010.05.24 |
---|---|
'인생은 아름다워' 갈등구조의 밋밋함, 드라마 재미 반감시킨다 (9) | 2010.05.16 |
'인생은 아름다워' 장미희, 고혹적인 민폐녀의 화려한 등장 (23) | 2010.04.25 |
'인생은 아름다워' 낙태 화두 던진 작가의 의도 (19) | 2010.04.12 |
'인생은 아름다워' 혈압 돋우는 바람둥이 할아버지 쫓겨난 사연 (26) | 2010.04.05 |
'인생은 아름다워' 동성애 화두 던진 김수현, 역시 날카로웠다 (14) | 2010.04.04 |


-
펨께 2010.04.04 19:02
엄마는 뿔났다 라는 드라마를 한국방문중 본 적이 있답니다.
무척 재미있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이 드라마로 동성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좀 달라지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해봅니다.
부활절 잘 보내세요. -
토깽 2010.05.01 13:19
잘 읽고 가요^^ 캐나다에서 바라보는 시선은 또 우리와 다르군요...
그런데 이 포스트의 일부분을 (초록누리님의 따님의 친구 케나다 동성애자의 이야기) 제 포스팅에서 인용하고 싶습니다.
물론 초록누님의 포스팅이라는 출처를 밝히고 링크를 걸어 놓겠습니다.
혹시라도 문제가 될 시에는 자삭하겠습니다.
그러나 동성애자에대한 이해를 구하는데 초록누님의 글의 정말 좋다고 생각해서 쓰고 싶습니다.
양해부탁드립니다.